피뢰기 구조
피뢰기 원리 흐름도는 간단히 말해서
충격시 차단(충격방전개시전압) ->
속류 차단후 회로 정상으로 복귀(정격전압)
이것의 무한 반복입니다.
그래서 충격방전개시전압이 낮을수록 기기의 손상을 막으면서 빠른 차단을 할 수 있고 속류 차단 전압인 정격전압이 높을수록 빨리 정상 상황으로 복귀할 수 있습니다.
충격방전개시전압 : [초록색]방전 시작 전압 / (기기 손실이 없게 낮을 것)
상용주파 방전개시전압 : 일반적 상황에서 방전 / (일반 상황은 방전 안되게 높을 것)
제한전압 : [파란색] 방전 전류가 흐르고 있을 때 전극간에 생기는 전압./(낮을것)
+피뢰기의 제한전압은 절연협조(기기의 적절한 절연강도를 만드는 것)의 기준이 된다. 높으면 많은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낮을수록 좋다.
정격전압 : [빨간색] 속류 i를 차단할 수 있는 최고 전압 / (속류 빨리 차단하게 높을 것)
+i의 꼭대기를 보면 속류의 증가가 멈췄고 연장선(검은선)을 그어보면 그때부터 속류가 빠져나가는게 멈추고 정상 전류 궤도에 오른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정격전압이 설정되지 않다면 속류는 계속 빠져나가서 피뢰기는 충격전압뿐 아니라 정상 전류를 모두 방전시켜 건물에서 정상적인 전류 사용이 불가능 할 것입니다.
자료는 여기까지 입니다.
혹시 만족하셨다면
댓글이나 추천 한 번 해주시는건 어떨까요?
격려는 아주 큰 힘이 됩니다. ㅎ
'전기기사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해가 쉬운] 유도전동기 공식 (0) | 2018.02.23 |
---|---|
[이해가 쉬운] 비등수형, 가압수식 원자로의 차이점 (0) | 2018.02.22 |
[이해가 쉬운] 직렬콘덴서 병렬콘덴서 원리 (3) | 2018.02.22 |
[이해가 쉬운] 동기조상기 원리 (2) | 2018.02.20 |
[이해가 쉬운] 자여자 전동기 역회전 불가능한 이유 (0) | 2018.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