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흐름도

대전제 :  시간이 지나면 무조건 모자 안쪽으로 이동한다.


한시동작접점 : 

a는 시간이 지나면 모자 안쪽으로 이동해서 붙는다.

b는 시간이 지나면 모자 안쪽으로 이동해서 떨어진다.


한시복귀접점 : 시간이 지나면 모자 안쪽으로 이동한다고 했는데 a나 b나 더이상 이동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모자 안쪽으로 이동할 수 있게 시작시 위치를 재조정한다.

a는 시작할때 붙여놓고 시작해서 시간이 지나면 다시 모자 안쪽으로 이동해 떨어진다.

b는 시작할때 떨어트려 놓고 시간이 지나면 다시 모자 안쪽으로 이동해 붙는다.



자료는 여기까지 입니다.

혹시 만족하셨다면 

댓글이나 추천 한 번 해주시는건 어떨까요? 

격려는 아주 큰 힘이 됩니다. ㅎ 

Posted by 귕규
,

절연저항이 필요한 이유

우선 전기는 부하가 아닌곳, 길이 아닌곳, 선로에서 선로사이, 선로에서 대지사이, 즉 충전부에서 외함으로 흐르면 안된다. 따라서 선간에 전류가 흐르지 않도록 또 그로인한 사고(화재,폭팔,감전)가 일어나지 않도록 절연저항(전기가 흐르지 못하도록 하는 저항)이 필요하다.


선간절연저항을 측정하는 이유

절연 저항을 점검을 통해 관리 하기 위함이다.

부하를 분리한 후 측정기로 DC 직류전압을 부하가 아닌 선로와 선로사이, 선로와 대지, 즉 충전부와 외함등에 가하여 전기가 흐르는 상태를 점검 한다.



자료는 여기까지 입니다.

혹시 만족하셨다면 

댓글이나 추천 한 번 해주시는건 어떨까요? 

격려는 아주 큰 힘이 됩니다. ㅎ 


Posted by 귕규
,

개략적 사진 

point 1 볼과 소켓의 구분

현수애자의 앞쪽(튀어나온부분) 에는 볼 종류가

뒤쪽에는 소켓 종류가 나온다.

볼인지 소켓인지 판단을 우선 한 후 크레비스와 아이를 구분한다.

point 2 크레비스와 아이의 구분

예시1

'point1'에 의해 2번의 장비는 현수애자의 앞쪽이니 볼종류, 4번은 뒤쪽이니 소켓종류이다. 거기에 위에 4개 표를 비교하면 볼 아이라는걸 알수있다.


4번은 현수애자의 뒤쪽이니 소켓 종류이다.  더해서 표와 비교해 보면 소켓 아이이다.




예시2

우선 'point1'에 의해 2번은 현수애자 앞쪽이니 볼종류 4번은 뒤쪽이니 소켓 종류이다. 더해서 표의 그림과 비교해 보면 2번은 볼 크레비스이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4번은 소켓 아이이다.



다른 판단 방법

 크레비스는 안에 다른 장비를 연결하고, 볼트 너트로 사이를 막는다. 

아이는 볼트와 너트 없이 구멍이 있어 그 안에 연결한다.




자료는 여기까지 입니다.

혹시 만족하셨다면 

댓글이나 추천 한 번 해주시는건 어떨까요? 

격려는 아주 큰 힘이 됩니다. ㅎ 

Posted by 귕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