와이-델타 기동을 하는 두 가지 이유


조건 R=22

와이:상전압은 선전압은 

(상전류=선전류=10A)


델타
:상전압은 V 선전압은 

(상전류=A, 선전류= A)


1) 델타의 선전류는 
    와이의 선전류는  10A


즉 와이 기동 시 델타 
기동 시 필요한 선전류에 1/3인 10A 수준으로 기이 가능하다.

2) 최초 기동 전류는 보통 정격전류의 6~7배이다. 
델타 전류의 경우 그대로  인데 와이 결선의 경우
1)의 결과에 의해  아래처럼 1/3수준이 된다.


Y로 기동 시 기동전류가 6배-> 2~3배 수준까지 줄어 

위험을 상당 부분 줄일 수 있다.




자료는 여기까지 입니다.

혹시 만족하셨다면 

댓글이나 추천 한 번 해주시는건 어떨까요? 

격려는 아주 큰 힘이 됩니다. ㅎ 

Posted by 귕규
,

고장 전류의 크기

단락전류>과부하전류>부하전류(정상전류)

 

PF- 한류형 (단락전류)

1) PF는 가장 큰 고장 전류인 단락전류만 차단한다.

2) 단 과도(과부하) 전류에 용단되지 않고 단락전류에만 용단되어야한다.

 

COS- 컷아웃"스위치" (단락전류+과부하전류+개폐기)

1) COS는 PF와 달리 단락전류와 과부하전류까지 차단 할 수 있다. 


2) 과전류(단락전류+과부하전류)이니, Cos는 개폐기(DS)+

과전류차단의 기능을 한다고 보면 된다.

 

3) cos에서 과전류차단 기능을 떼면 콘덴서 뱅크용량 50kva 미만인 경우 os나 인터럽트 스위치 대용으로도 사용 가능하다.

 

PFcos의 사용 시기

1) 많이 쓰이는건 PF이다. 변압기 용량이 300kva이하 인 경우 간이수변전설비에서 예외로 PF "대신" COS가 가능하긴 하지만 이 경우에도 PF를 달아도 좋다.


3) 변압기, 차단기 2차 측에 전력퓨즈를 설치해서 단락전류는 PF가 차단시키도록 만들면 변압기, 차단기의 기본 단락용량을 작게만들수 있고, 차단기 고장도 거의 없어져 좋다.

 

+ 뒤에 CB가 없다면 개폐+차단 가능한 COS가 더 좋을 수 있다.

+ PT의 경우에도 개폐+차단 가능한 COS가 더 낫다.




자료는 여기까지 입니다.

혹시 만족하셨다면 

댓글이나 추천 한 번 해주시는건 어떨까요? 

격려는 아주 큰 힘이 됩니다. ㅎ 

Posted by 귕규
,

비중의 의미

축전지에서는 전해액(비중)이 높고 낮은지를 말한다순수한 물에 대한 전해액(황산)의 무게의 비로 비중이 1.2면 전해액은 물의 1.2배이다


방전 시: 황산이 물로 변하며 비중이 낮아진다

충전 시: 물이 황산으로 바뀌며 비중이 높아진다.


설페이션 현상 : 배터리를 사용 할수록 정상적인 충전이 이뤄지지 않고 전해액(황산)의 비중이 저하하고 완충이 되지 않는 정도가 점점 심해진다.




자료는 여기까지 입니다.

혹시 만족하셨다면 

댓글이나 추천 한 번 해주시는건 어떨까요? 

격려는 아주 큰 힘이 됩니다. ㅎ 

Posted by 귕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