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선용 차단기 외에 누전차단기도 필요한 이유.
부하전류<과부하전류<단락전류
| 과전류 |
| 지락전류 |
1. 지락전류의 크기는 위와같이 애매하게 걸쳐 있다.
2. 즉 과전류 차단기로 과전류를 차단한다 해도 부하전류와 크기와 같은 지락전류, 고장전압은 배선용 차단기로 차단이 안된다.
+고장전압 : 영상, 역상, 정상분에 따른 판단.
3. 따라서 이런 상황을 누전차단기로 2차적으로 판단해 차단한다.
자료는 여기까지 입니다.
혹시 만족하셨다면
댓글이나 추천 한 번 해주시는건 어떨까요?
격려는 아주 큰 힘이 됩니다. ㅎ
'전기기사 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해가 쉬운] 전기기사 헷갈리는 일본식 한자 해설 총정리 2 (2) | 2018.03.21 |
---|---|
[이해가 쉬운] 옥내에서 전선을 병렬로 사용할때 5가지 원칙 (4) | 2018.03.20 |
[이해가 쉬운] 과전류 과부하전류 차이점 (0) | 2018.03.18 |
[이해가 쉬운] 전기기사 헷갈리는 일본식 한자 해설 총정리1 (0) | 2018.03.18 |
[이해가 쉬운] 병렬 운전 시 %Z가 같아야하는 이유 (0) | 2018.03.18 |